본문 바로가기

농업기계

우리가 쌀을 수입하면 안 되는 이유 5가지!

728x90
반응형

쌀은 우리나라의 주식입니다. 우리나라는 1995년 WTO에 가입하면서 모든 농산물을 관세화했지만, 쌀은 예외적으로 두 차례에 걸쳐 관세화를 유예했습니다. 그러나 2014년 유예기간이 끝나면서 이를 또다시 유예하는 대신 관세화를 결정하고 관세율을 513%로 정해 WTO에 통보한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쌀을 수입하지 않고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려고 노력할까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는 이유

첫번째! 쌀을 제외하면 우리나라 곡물 자급률은 10%이하.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타결로 모든 농산물의 수입 개방이 된 상황에서 쌀은 우리의 식탁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가 되었다고 합니다.

두번째! 벼농사는 홍수 조절 기능을 한다. 전국 110만ha의 논에 가둘 수 있는 빗물의 양은 36억 톤으로 춘천댐 총 저수량인 1억 5천만 톤의 24배나 된다고 합니다. 홍수 피해 감소 효과를 금액으로 따지면 1조 5천 8백억원. 논의 저수 능력을 댐 건설 비용으로 따지면 15조 5천 340억이나 된다고 합니다.

세번째! 논의 지하수 저장 능력은 기존 저수지 저수량의 3~4배나 된다. 논물 가운데 45%가 지하로 저장되어 국민들의 물문제를 해결해준다고 합니다. 이는 소양강댐 저수량의 8.3배 전국민 수돗물 사용량 58억 톤의 2.7배로 어마어마한 양입니다.

네번째! 대기 정화기능! 벼는 지구상의 식물 중 가장 많은 산소를 공급하고 가장 많은 탄산가스를 흡수한다고 합니다. 산소 방출량을 금액으로 따지면 5조 2천 8백억이라고 합니다.

다섯번째! 한여름 대기 냉각 기능. 여름철 전국의 논에서 대기로 증발되는 물의 양은 하루 8천만 톤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뜨거운 대기의 온도를 낮추어 준다고 합니다.
-출처 <만화 식객>

벼가 이렇게나 많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저도 처음 알게 되었는데요. 허영만 작가님의 만화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우리 쌀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이 사실을 알게 되고 우리 벼가 꾸준히 지켜질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느꼈습니다.

728x90
반응형

'농업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기계 임대 방법  (1) 2020.10.05